베가 N˚6(IM-A860S) 미니 윈도우를 적용해 보자이번시간에는 베가 넘버 6의 미니 윈도우를 적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_~ 베가 넘버 식스는 미니 윈도우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던 기종입니다멀티 미니 윈도우가 가능하고 미니 윈도우의 숫자가 기야 급수적으로 늘었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2013/02/07 - [전자 기기 포스팅] - 미니 윈도우를 통한 팬택의 기능 업그레이드 살펴보기 포스팅을 살펴봐 주세요 ) 이렇게 많이 들어가 있는 미니 윈도우, 베넘식에만 쓰기는 아깝죠? 그래서 한번 제 베레2에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니 다이얼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배넘식 미니 윈도우.zip에 들어있는 AOTDialer를 사용하지 마시고 새로 올려진 AOTDialer.apk를 사용해 주세요정상적으로 Deodex하였는..
Easy_Root_for_VegaRacer2 베가레이서2를 위한 쉬운 루팅툴 지금까지 존재하는 젤리빈의 루팅툴의 경우 리커버리로 진입해서 사용자가 직접 루팅 파일을 설치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그러나 지금 이 이지루팅 툴을 사용할 경우 그런 불편함이 싹 사라지실겁니다! Boot.img를 수정해서 한번의 재부팅으로 바로 루팅을 하는 편리함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부트 이미지는 sk의 것을 사용했습니다 thanks for hPa 사용법 :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으신다음 Start.bat파일을 실행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Q:wait-for-device에서 넘어가지 않습니다A:fastboot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세요 설치 방법은 SDA카페 내에 아주 자세하게 있기 때문에 자세한 방법까지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Q:순..
드디어 만들었습니다 다행히도 제 추측이 빗나가서 (ㅎㅎ) 비교적 쉽게 만들수 있었습니다 사용방법 : 압축을 풀으신다음 Start.bat를 실행하세요 제가 직접 테스트 해봤기 때문에 정상이라 생각됩니다 이 툴의 기능은 젤리빈 상태에서 바로 루팅을 할수 있으며 리커버리를 영구적으로 설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루팅 카운터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발자용 글 제가 어제 부트로더가 잠금되어 있다고 말씀드렸는대 이건 아샌때도 같은 방법으로 잠금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fastboot는 아직 막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베트남 포럼 분께서 만드신 리커버리는 fastboot boot로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왜 다른 img는 안되냐? 이건 아직까지는 추정일 뿐입니다만 1. 젤리빈으..
http://cafe.naver.com/skydevelopers/246182 이 글을 보시면 젤리빈 루팅툴이 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젤리빈 sk분께서 이 루팅툴로 루팅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제가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fastboot boot recovery.img가 작동합니다..! 혹시 fastboot의 버전 문제인가 해서 다른 리커버리도 boot로 해보았지만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즉 툴안에 있는 리커버리는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부팅이 가능하다는 뜻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추정할수 있는 경우는 약 2가지정도.. 먼저 리커버리를 만들때 어떠한 코드를 넣었던지 (예를 들면 BoardConfig.mk라던지 램디스크에 파일을 넣는다던지등) 아니라면 커널과 리커버리를 만들때 cmdline등을 다시 설정해 줘야..
일단 젤리빈에서는 sk와 kt의 루팅 방법이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fastboot와 adb의 보안 결함등이 발견되지 않는 이상 순정 젤리빈에서는 아마 힘들다 생각되는 군요 뭘 건들면 될지도 모르지만 아직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S/W업그레이드 화면에서 밀어 넣어 버리거나 BINX를 합치는 방법을 개발해 넣는 방법이 있겠지요? su_ky님께서 BINX로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신다면 아마 쉽게 이루어 질듯 합니다...만 부트로더에서 체크섬을 확인해서 막아버린다면 방법이 아주 힘들겠지요.. 제가 젤리빈의 루팅을 위해 아샌으로 다운그레이드 한다음 업뎃집을 수정하여 설치하면 루팅이 정상적으로 됩니다 이왕 하는 김에 아까 올린 pantech_server도 적용했고 제가 젤리빈 커널을 가져와서 만든 리커버리도..
부트로더에 기록되는 루팅 카운터의 증가를 막는 패치를 하였습니다 pantech_server를 수정하여 rawdata를 건들지 못하게 막아 루팅이 되어도 부트로더에 기록되지 못합니다 ㅋㅋ 첨부파일을 받아서 /system/bin에다가 755퍼미션으로 넣어 주시면 됩니다 ps. 루팅 카운터가 이미 올라가 있는경우에 이 카운터를 초기화 하는 파일은 아니며 카운터의 증가만 막아줍니다 그리고 리커버리를 올려봤는대 젤리빈에서는 부트로더가 부팅을 막아버리는지 검은 화면만 뜨는군요 참조 : http://cafe.naver.com/skydevelopers/150571
제목 그대로입니다.. fastboot boot recovery.img가 먹히지 않아 원인을 찾던도중fastboot oem unlock를 하니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즉 부트로더가 락되어 있다는 것이죠 부트로더를 보면 이미 제 커널 카운터가 몇개 올라가 있습니다..아마도 이번 젤리빈 부터는 루팅 여부만 검사하는것이 아니라 몇번 했는지도 검사하는게 아닌지 의심스러워 졌습니다 이로써 우리는 더욱더 할일이 많아졌습니다...;; 아직 젤리빈 적용안하신 분들루팅 못합니다언락하지 않는이상 그러니 CWM에서 설치하실때 꼭 슈퍼유저를 설치하신다음 재부팅 하세요그냥 재부팅 하시면 부트로더가 잠겨서 아무런 짓도 못합니다... 어떻게 루팅을 해야 할까 막막하군요...다시 락하는 방법이 있지 않는 이상은....말이죠
심심해서 빌드해봤습니다 ㅇㅅㅇ이제 내일이면 시험이 끝나는 관계로 간단하게 만들었습니다 ㅋ어제 빌드했던 리커버리의 오류를 수정해서 정상적으로 뜨는 리커버리를 만들었는대요 반응이 너무 좋더라고요?!?!?!?!ㅋㅋㅋㅋ그래서 핑크색(?) 리커버리도 올려드립니다~ _pink가 있는 파일이 어제 빌드한 안 따끈따끈한 리커버리고요없는것이 정상적으로 설치/표시되는 리커버리 입니다 오늘도, 내일도 시험인지라 오류가 뜨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아마도 잘 작동할겁니다 ㅇㅅㅇ그나저나 serenity님께서 소스 올려주신다고 하셨는대 지금쯤 올려져 있을까요?ㅎㅎ 아무튼 오늘은 내일 시험 준비로 이만 사라지렵니다~그럼 오늘 하루도 파이팅!! 참고로 pink 리커버리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CWM은 사용할 수 없을거 같지만 T..
이번에는 ClockWorkMod Recovery에 대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약간의 소스를 읽는 능력이 필요합니다일반 유저 분께서는 이해하기 힘드실 수도 있는 부분을 다루고 있습니다또한 아직 확실하지 않은 부분과 비정확한 내용도 기록되어 있으니 판단해서 받아드리시길 바랍니다항상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보충/보완될 예정입니다 ClockWorkMod Recovery, 줄여서 CWM 이라고도 언급합니다 이 리버커리는 Koush라는 분께서 작업하시고 계시는 커스텀 리커버리 입니다다들 아시다 싶이 CM의 소스를 받으면 bootable/recovery폴더에 CWM관련 파일들이 있지요 https://github.com/cyanogenmod/android_bootable_recovery 이 링크를 들어가 ..
방과후 학교에서 배운 컴퓨터 활용 능력 관련 엑셀 파일 입니다
BINX를 분해하면 나오는 img 또는 cwm에서 백업하면 생기는 img파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분해가 가능합니다 http://www.diskinternals.com/linux-reader/ Linux Read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해가 가능한대요 말만 분해이지 안에 있는 파일을 복사 하는 정도 입니다 일단 Linux Reader을 깔아주세요 설치후 왼족 상단 메뉴를 보시면 Drivers가 있는데요 Mount Image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기본 설정 그대로 둔다음 Next >를! 열려고 하는 img를 선택해주세요 그럼 주황색 글씨로 새로운 파티션 같은게 생깁니다 더블클릭으로 들어가 주세요 자! Ctrl키와 A키를 눌러 모두 선택을 해주신 다음 위에 있는 Save를 눌러줍시다 어디에 저장할건..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branch를 만들어 업로드 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한번 그 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할까요? sudo apt-get install git-core 먼저 이렇게 해서 git을 깔아 줍시다. 그다음 설정을 해야 겠지요? git config --global user.name "로그인 아이디"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가입한 이메일 주소] 이렇게 자신의 이름과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git init 이제 init 명령어로 이 폴더를 git 작업폴더로 사용할 것임을 선언해 주세요. 그럼 새로운 branch를 만들어야겠죠? 참고로 기본 branch는 master입니다. 그리고 master 브런치만 필요하다면 브런치를 새로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git c..
램디스크 파일은 수정하지 않았고 mkbootimg의 명령어(--ramdiskaddr같은거)를 조금 수정해 봤습니다 역시 부팅은 안되고요 전에는 무한 Vega로고였지만 지금은 [Vega로고] - [검은색 화면] - [시간의 경과] - [또다시 Vega로고] - [검은색 화면] .... 이런식으로 되는군요 한마디로 말하자면 로고가 무한으로 뜹니다 로고 뜨기, 검은화면, 로고 뜨기 이런식으로요 ㅋㅋ 역시 이번에도 adb와 fastboot모두 잡히지 않았습니다 혹시 베레2의 mkbootimg 정확한 명령어 알고 계신분 계시다면 도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베레2도 베레1처럼 base값을 바꿔야 부팅되는건 아니겠죠???
장장 약 24시간의 빌드를 끝내고 zip이 나왔습니다 소스는 cm10, hpa님의 디바이스 트리를 이용하고 제가 심하게 다듬어서 빌드가 이루어 졌습니다 일단 빌드까진 완료되었는대.. 중요한건 부팅이 안되는 군요 백업했던걸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예상했던대로 adb와 fastboot모두 작동하지 않았고요 아무것도 잡히지 않는군요.. 다행히도 부트로더의 손상은 없기에 리커버리에는 들어가 집니다 전에 미라크a cm7때도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긴 한대.. 이번에는 뭐때문인지 부팅이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오늘은 이쯤해서 끝내고 이제 시험 기간이니 공부에 더 집중하려고요 ㅎ 시험 끝나고 cm10.1이 포팅될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그런대 이 11시 밤에 보시는 분이 계실지 몰ㄹ...) 혹시 디바이스..
- Total
- Today
- Yesterday
- String Name = Miru(itmir913);
- String Mail = itmir913@gmail.com;
- String github = https://github.com/itmir913;